본문 바로가기
지식의 숲속 산책

트렌드코리아 2025 핵심 요약: 소비 트렌드 TOP 7 정리

by 센좐놔 2025. 5. 2.
반응형

2025년은 단순한 해가 아니라, 팬데믹 이후 고착된 소비 패턴과 디지털 기술 진보가 본격적으로 결합되는 시점입니다. 『트렌드코리아 2025』는 이러한 변화를 정교하게 짚어내며, 기업과 브랜드, 소비자 모두가 참고해야 할 7가지 핵심 소비 트렌드를 제시합니다.
이 블로그 글에서는 책의 주요 내용을 기반으로 각 트렌드를 분석하고, 이를 어떻게 비즈니스 전략과 마케팅 인사이트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정리했습니다.

1. 2025 소비 트렌드 TOP 7

1.1 옴니보어 (Omnivore): 경계 없는 잡식성 소비

2025년 소비자는 더 이상 특정 취향이나 정체성에 얽매이지 않습니다.
성별, 연령, 소득 계층이라는 전통적인 분류 기준은 점점 무의미해지고, 하나의 사람 안에 여러 정체성과 취향이 공존하는 ‘잡식성 소비자(Omnivore)’가 중심이 됩니다.

  • 핵심 특징: 패션, 식품, 콘텐츠 등 모든 분야에서 경계를 넘나듦
  • 예시: 한 소비자가 스트리트 브랜드와 명품을 동시에 소비하거나, 건강식과 패스트푸드를 함께 즐김
  • 비즈니스 인사이트: 세분화된 타깃팅보다 ‘다양성 수용’을 기반으로 한 브랜드 메시지와 제품 기획이 중요해집니다

1.2 #아보하 (아보카도 하이엔드): 평범한 것을 고급스럽게

‘#아보하’는 일상적인 재료나 경험을 프리미엄화하여 고급 소비로 승화시키는 트렌드를 말합니다.
아보카도가 그 자체로는 대중적인 식재료지만, ‘웰빙’과 ‘럭셔리’ 이미지를 함께 가지는 것처럼, 소비자들은 평범한 것을 고급스럽게 경험하고 싶어합니다.

  • 핵심 특징: 일상 소비에 ‘작은 사치’ 요소를 더함
  • 예시: 고급 베이커리 커피, 명품 굿즈가 포함된 편의점 PB 상품
  • 비즈니스 인사이트: 일상 제품에 고급 이미지를 더하는 ‘프리미엄화 전략’이 유효

1.3 페이스테크: 얼굴이 열쇠가 되는 시대

기술이 소비를 지배하는 시대, 페이스테크(Facetech)는 2025년의 핵심 키워드입니다.
얼굴 인식 기반의 결제, 출입 인증, 맞춤형 광고 기술 등은 소비자의 편의성과 보안, 개인화를 동시에 만족시킵니다.

  • 핵심 특징: 생체 정보 활용, 편의 중심 소비
  • 예시: 얼굴로 결제하는 무인 매장, 얼굴형 기반 뷰티 제품 추천 서비스
  • 비즈니스 인사이트: 기술적 진입장벽을 낮추는 UX 설계와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신뢰 확보가 관건

1.4 물성 매력: 디지털 시대의 촉각적 욕망

디지털 중심의 라이프스타일 속에서 사람들은 '촉감', '질감', '무게감' 등 물리적 속성에 매력을 느끼는 소비를 추구합니다.
‘물성 매력’은 감각적인 만족을 주는 실물 제품이나 오프라인 경험에서 비롯됩니다.

  • 핵심 특징: 아날로그적 감성과 감각 자극에 집중
  • 예시: 종이 질감을 살린 책, 손맛이 느껴지는 수공예 제품, 감촉이 강조된 패키지 디자인
  • 비즈니스 인사이트: 오감 자극형 제품 기획 및 피지컬 경험이 강조되는 오프라인 채널 강화 필요

1.5 리얼리얼 (진정성 소비): 진짜가 아니면 소비하지 않는다

브랜드의 말과 행동이 다르거나 과장된 마케팅은 더 이상 통하지 않습니다.
'리얼리얼(Real Real)'은 진정성 있고 투명한 태도를 가진 브랜드와 콘텐츠가 선택받는 트렌드를 말합니다.

  • 핵심 특징: 진정성, 투명성, 사회적 책임 중시
  • 예시: 비포&애프터 없는 뷰티 광고, ESG 경영을 실천하는 브랜드
  • 비즈니스 인사이트: 광고 메시지보다 실제 행동과 스토리텔링이 소비자 마음을 움직임

1.6 리버스 컨슈머 (역행 소비): 기존 트렌드의 역전

일부 소비자들은 주류 트렌드를 따르기보다 '과거로의 회귀' 혹은 역방향 선택을 통해 차별화를 추구합니다.
이는 복고(Retro)와는 다르며, 주류 흐름에 반대되는 선택을 통해 새로운 만족을 찾는 소비 태도입니다.

  • 핵심 특징: 역행, 독립성, 탈중앙화
  • 예시: 스마트폰 대신 피처폰 사용, 디지털 대신 아날로그 필름카메라 선호
  • 비즈니스 인사이트: 소수 취향 존중 및 ‘비표준적 니즈’를 수용하는 상품 개발

1.7 포텐피플: 가능성을 소비하는 사람들

소비자는 이제 제품 그 자체보다 ‘나의 가능성을 확장시켜줄 수 있는가’에 따라 소비를 결정합니다.
‘포텐피플’은 자신의 성장과 변화 가능성에 투자하는 소비자를 의미합니다.

  • 핵심 특징: 자기계발, 도전, 잠재력 중심 소비
  • 예시: AI 기반 학습 앱, 건강관리 구독 서비스, 취미 교육 플랫폼
  • 비즈니스 인사이트: “나를 바꿀 수 있는 소비”라는 콘셉트가 브랜딩 핵심

2. 트렌드 요약 및 비즈니스 적용 방안

『트렌드코리아 2025』에서 제시한 소비 트렌드 7가지는 단순히 미래를 예측하는 데 그치지 않고, 소비자 심리와 라이프스타일 변화의 흐름을 실질적으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비즈니스 기회 포착과 전략 수립의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핵심 요약

트렌드 이름 소비자 심리 브랜드 대응 전략
옴니보어 다양한 정체성, 구분 없는 선택 세분화보다 통합적 메시지와 경험 설계
#아보하 일상 속 프리미엄 추구 프리미엄 라인 확장, 고급 이미지 강조
페이스테크 편의, 보안, 개인화 중시 얼굴 인식 기반 기술 도입, UX 최적화
물성 매력 감각적 만족 욕구 증가 촉각 중심 제품 및 오프라인 강화
리얼리얼 진정성과 투명성 추구 ESG, 스토리텔링 중심 마케팅
리버스 컨슈머 차별화 욕구, 주류 거부 틈새시장 공략, 대안적 상품/서비스 제공
포텐피플 자기 성장에 대한 투자 경험 중심 서비스, 학습·헬스케어 콘텐츠

3. 결론: 변화하는 소비자와 함께 진화하는 전략

2025년 소비자는 단순히 제품을 구매하는 존재가 아니라, 자신의 가치와 감성을 표현하는 주체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트렌드코리아 2025』에서 제시한 일곱 가지 트렌드는 이러한 변화의 방향성과 속도를 예리하게 포착하며, 기업과 브랜드, 개인 모두에게 중요한 힌트를 제공합니다.

이제는 트렌드를 "해석"하는 수준을 넘어, 트렌드에 대응하고 실천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옴니보어처럼 다양한 욕구를 수용하고, #아보하와 페이스테크처럼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하며, 리얼리얼과 포텐피플처럼 진정성과 성장 욕구를 채우는 브랜딩이 핵심입니다.

반응형